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서 퇴직연금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일

甲 등이 한국수출입은행에 재직 중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하였다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하였는데, 甲 등의 퇴직연금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일이 문제되었다.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근로자의 사용자에 대한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는 근로자의 퇴직일부터 진행하고, 근로자가 퇴직금제도 또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에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한 경우, 소급 가입기간에 대한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역시 근로자의 퇴직일부터 진행한다고 봄이 타당하다(고등법원, 확정).

 

판단

1.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근로자의 사용자에 대한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는 부담금 납입 기일이 아닌 근로자의 퇴직일부터 진행한다.

  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이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의 부담금과 관련하여 가입자인 근로자의 퇴직 시 부담금 미납분을 정산하도록 하면서도 정산의 대상이 되는 기간을 한정하지 않는 점,

  나. 퇴직금청구권의 경우 그 전액에 관하여 최종 퇴직 시점부터 소멸시효가 기산하는 것에 비추어,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근로자가 연금의 기초자산이 될 사용자의 부담금에 대해 퇴직 시 최종적으로 부족분을 정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퇴직급여제도의 목적과 형평의 관점에 부합하는 점,

  다. 사용자가 부담금 납입의무를 지연하는 경우 근로자의 퇴직 전이라고 하더라도 지연이자를 납입할 의무를 부담하게 되나, 이는 부담금의 납입이 지연되는 기간 동안 근로자가 해당 부담금 상당액을 적립금으로 운용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었던 기회를 상실한 것에 대한 보상조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부담금 납입의무 발생 시점과 근로자의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 시점을 동일하게 볼 필요는 없다.

2. 나아가 근로자가 퇴직금제도 또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에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하여 가입하면서 가입기간을 소급할 때 사용자가 소급 가입기간에 대하여 일시금의 형태로 납입되는 부담금은 중간정산퇴직금이 아니고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따른 부담금의 성질을 가지므로, 가입자인 근로자가 사용자에 대해 가지는 소급 가입기간에 대한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역시 가입자인 근로자의 퇴직일부터 진행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관련 내용

소멸시효

건물 소유권 상실과 토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소멸시효

타인의 소멸시효 주장(매수인이 매도인 소멸시효, 배당이의의 소에서 다른 채권자 소멸시효)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서 퇴직연금 부담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일

신탁법이 규정한 수익채권의 소멸시효 완성 여부가 문제된 사건

교통사고 손해배상청구권 소멸시효 중단 여부

보험금 청구권의 소멸시효는 보험사고 발생일부터 진행

사망 보험금 수령 서류를 물어도 소멸시효 중단 사유 아냐

업무지시자 이사 의제 불법행위 손해배상 3년 소멸시효 배제

상수도원인자부담금 소멸시효 적용 및 도과 사례

국세채권 소멸시효 정리

소송에서 확장한 공사대금 12억 소멸시효 중단 석명해야

제척기간

해상운송 화물 미수령, 2년 후 컨테이너 초과사용료 분쟁

선하증권 효력 권리양도 공동불법행위 손해배상 제척기간

배임적 부정행위 부당과소신고가산세와 10년 제척기간 연장 문제